자이S&D는 ESG경영의 실적, 정책, 규정 등 다양한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데이터는 기업의 환경, 사회, 지배구조 전반에 걸친 경영 현황과 성과를 객관적으로 파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모든 이해관계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하게 공개하고 있습니다. 특히 ESG 관련 정보의 신뢰성과 일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내부 관리 체계를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데이터의 정확한 수집과 분석에 힘쓰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자이S&D는 ESG경영 데이터의 체계적 관리와 투명한 공개를 통해 이해관계자와의 신뢰를 더욱 높이고, 지속가능경영의 기반을 한층 더 견고히 하겠습니다. 이러한 노력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 이행과 장기적 성장에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ESG경영 데이터
▪
데이터 공개 범위: 별도 기준 국내 全 사업장 성과를 포함합니다.
- 본사, 건설 현장(’24년 11개), 수원공장, 디어스명동(’24년 1~10월), 고양휴게소
- 공개 범위 상이할 경우, 항목 내 별도 표기되어 있습니다.
경제
▣ 사회적 가치 창출
항목 | 단위 | 2022 | 2023 | 2024 | |
매출액(별도기준) | 억원 | 5,897 | 5,551 | 5,306 | |
세전이익(별도기준) | 억원 | 958 | 227 | -104 | |
당기순이익(별도기준) | 억원 | 725 | 178 | -88 |
▣ 사회적 가치 분배
항목 | 단위 | 2022 | 2023 | 2024 | |
배당금 및 이자(주주 및 투자자) | 억원 | 147 | 74 | 73 | |
급여(임직원) | 억원 | 887 | 869 | 876 | |
복리후생비(임직원) | 억원 | 97 | 104 | 100 | |
법인세(정부) | 억원 | 233 | 50 | -16 | |
사회공헌 투자액(지역사회) | 억원 | 0.9 | 0.0 | 0.1 | |
구매 및 용역비(협력사) | 억원 | 3,245 | 3,795 | 3,793 |
환경
▣ 온실 가스
항목 | 단위 | 2022 | 2023 | 2024 | |
총 온실가스 배출량 | tCO2-eq | N/A | 129,964 | 205,828 | |
Scope 1 & 2(직/간접 배출) | tCO2-eq | N/A | 3,704 | 4,116 | |
- Scope 1(직접 배출) | tCO2-eq | N/A | 866 | 1,357 | |
- Scope 2(간접 배출) | tCO2-eq | N/A | 2,838 | 2,759 | |
Scope 3(기타 간접 배출) | tCO2-eq | N/A | 126,260 | 201,712 | |
- 구매한 제품 및 서비스(Cat. 1) | tCO2-eq | N/A | 17,449 | 62,777 | |
- 운영 폐기물(Cat. 5) | tCO2-eq | N/A | 415 | 356 | |
- 직원 출장(Cat. 6) | tCO2-eq | N/A | 433 | 162 | |
- 직원 통근(Cat. 7) | tCO2-eq | N/A | 1,720 | 3,144 | |
- 제품 사용(Cat. 11) | tCO2-eq | N/A | 106,242 | 135,273 | |
원단위 온실가스 집약도 | tCO2-eq/억원 | N/A | 23.4 | 38.8 | |
* 원단위 온실가스 집약도 = Scope 1+2+3 배출량 / 별도 매출액 |
▣ 에너지
항목 | 단위 | 2022 | 2023 | 2024 | |
총 에너지 사용량 | TJ | N/A | 73 | 78 | |
비재생에너지 사용량 총계 | TJ | N/A | 73 | 78 | |
- LNG(도시가스) | TJ | N/A | 2 | 1 | |
- 등유 | TJ | N/A | 6 | 13 | |
- 경유 | TJ | N/A | 3 | 4 | |
- 휘발유 | TJ | N/A | 1 | 1 | |
- 전력 | TJ | N/A | 59 | 57 | |
- 기타 | TJ | N/A | 1 | 1 | |
재생에너지 사용량 총계 | TJ | N/A | 0 | 0 | |
재생에너지 사용비율 | % | N/A | 0.0 | 0.0 | |
원단위 에너지 집약도 | TJ/억원 | N/A | 0.01 | 0.01 | |
* 원단위 에너지 집약도 = 총 에너지 사용량 / 별도 매출액 |
▣ 건설 폐기물
항목 | 단위 | 2022 | 2023 | 2024 | |
폐기물 처리량(배출량) | ton | N/A | 22,827 | 21,392 | |
- 재활용 | ton | N/A | 21,494 | 21,392 | |
- 소각 | ton | N/A | 0 | 0 | |
- 매립 | ton | N/A | 0 | 0 | |
- 기타 | ton | N/A | 1,333 | 0 | |
폐기물 재활용률 | % | N/A | 94.2 | 100.0 |
▣ 자재
항목 | 단위 | 2022 | 2023 | 2024 | |
콘크리트(레미콘) | m3 | N/A | 22,959 | 38,733 | |
레미탈 | kg | N/A | 132,000 | 1,405,154 | |
일반 시멘트 | kg | N/A | 446,000 | 136,480 | |
벌크 시멘트 | kg | N/A | 246,400 | 3,647,399 | |
PHC파일 | kg | N/A | N/A | 188 | |
아스팔트(아스콘) | ton | N/A | 802,000 | 152,000 | |
모래 | m3 | N/A | 2,133,500 | 2,150,500 | |
철근 | ton | N/A | 108,383 | 3,266,887 | |
석고보드 | ton | N/A | 10,182 | 3,237,276 | |
내장재(단열재) | m3 | N/A | N/A | 26,755 | |
PF보드 | kg | N/A | N/A | 203,724 | |
철강재 | kg | N/A | 487,739 | 4,466,630 | |
순환골재 | m3 | N/A | 0 | 0 | |
재생원료 사용량 | m3 | N/A | 0 | 0 | |
* PHC파일, PF보드, 철강재는 '24년 부터 실적 관리 * 데이터 범위: 건설 현장(11개) |
▣ 용수
항목 | 단위 | 2022 | 2023 | 2024 | |
상수도 | ton | N/A | 85,482 | 81,446 | |
- 본사 | ton | N/A | 8,836 | 8,695 | |
- 국내 건설 현장 | ton | N/A | 55,629 | 51,917 | |
- 국내 사업장 | ton | N/A | 21,017 | 20,834 | |
지하수 | ton | N/A | 0 | 0 | |
하천수 | ton | N/A | 0 | 0 | |
용수 재활용량 | ton | N/A | 0 | 0 | |
* 국내 사업장: 고양휴게소, 디어스명동 |
▣ 수질 오염
항목 | 단위 | 2022 | 2023 | 2024 | |
TOC 배출량 | ton | N/A | 0 | 0 | |
BOD 배출량 | ton | N/A | 0 | 0 | |
SS 배출량 | ton | N/A | 0 | 0 | |
* 별도의 수처리 시설이나 폐수 배출 시설 없음 |
▣ 친환경 구매
항목 | 단위 | 2022 | 2023 | 2024 | |
총 녹색구매 비용 | 억원 | N/A | 71.0 | 39.1 | |
- 환경표지인증 | 억원 | N/A | 36.5 | 19.8 | |
- 환경성적표지인증 | 억원 | N/A | 5.1 | 12.5 | |
- 저탄소제품인증 | 억원 | N/A | 27.0 | 1.5 | |
- HB마크 | 억원 | N/A | 2.4 | 2.8 | |
- 녹색인증 | 억원 | N/A | 0.0 | 2.5 | |
녹색구매 비율 | % | N/A | 15.5 | 16.3 | |
* 데이터 범위: 건설 현장(11개) * 구매 기준: 친환경 인증을 득한 자재의 구매액 |
▣ 친환경 인증
항목 | 단위 | 2022 | 2023 | 2024 | |
녹색 건축물 인증 | 건 | 4 | 2 | 1 | |
에너지 효율 인증 | 건 | 5 | 2 | 1 | |
대기전력 우수제품 인증 | 건 | 29 | 3 | 3 |
▣ 친환경 매출
항목 | 단위 | 2022 | 2023 | 2024 | |
총 친환경 매출액 | 억원 | 530 | 754 | 472 | |
친환경 매출 비중 | % | 9.0 | 13.6 | 8.9 | |
* 데이터 범위: 건설 현장(11개) * 녹색건축물인증, 에너지효율인증 등 친환경 인증을 받는 프로젝트의 매출 기준 |
▣ 환경경영 교육
항목 | 단위 | 2022 | 2023 | 2024 | |
환경경영 교육 건수 | 건 | N/A | N/A | 7 | |
환경경영 교육 인원 | 명 | N/A | N/A | 55 |
▣ 환경 법규 위반 현황
항목 | 단위 | 2022 | 2023 | 2024 | |
환경 법규 위반 건수 | 건 | 0 | 0 | 0 | |
환경 법규 위반 벌금액 | 백만원 | 0 | 0 | 0 | |
* 1백만원 이상 건 기준 |
사회
▣ 임직원 현황
항목 | 단위 | 2022 | 2023 | 2024 | |
총 임직원수 | 명 | 2,121 | 1,990 | 1,849 | |
- 성별: 남성 | 명 | 1,596 | 1,483 | 1,397 | |
- 성별: 여성 | 명 | 525 | 507 | 452 | |
- 여성 임직원 비율 | % | 24.8 | 25.5 | 24.4 | |
- 연령별: 30세 미만 | 명 | 186 | 153 | 110 | |
- 연령별: 30세~50세 | 명 | 938 | 905 | 830 | |
- 연령별: 50세 초과 | 명 | 997 | 932 | 909 | |
- 고용형태별: 정규직 | 명 | 618 | 696 | 716 | |
- 고용형태별: 계약직 | 명 | 1,503 | 1,294 | 1,133 | |
총 관리직 수 | 명 | 427 | 477 | 475 | |
여성 관리직 수 | 명 | 61 | 64 | 56 | |
- 초급 | 명 | 28 | 21 | 15 | |
- 중급 | 명 | 24 | 31 | 27 | |
- 상급 | 명 | 9 | 12 | 14 | |
여성 관리직 비율 | % | 10.5 | 13.4 | 11.8 | |
수익 창출 영역 여성 관리직 비율 | % | 9.5 | 9.3 | 8.8 | |
장애인 임직원 수 | 명 | 30 | 30 | 33 | |
장애인 임직원 비율 | % | 1.4 | 1.5 | 1.8 | |
외국인 임직원 수 | 명 | 3 | 3 | 0 | |
외국인 임직원 비율 | % | 0.1 | 0.2 | 0.0 | |
국가보훈자 수 | 명 | 4 | 8 | 7 | |
국가보훈자 비율 | % | 0.2 | 0.4 | 0.4 | |
* 당사는 '24년 부터 직급제를 폐지하고 있음 |
▣ 임직원 채용
항목 | 단위 | 2022 | 2023 | 2024 | |
신규 채용 인원 | 명 | 240 | 181 | 113 | |
- 성별: 남성 | 명 | 198 | 134 | 113 | |
- 성별: 여성 | 명 | 42 | 47 | 26 | |
- 연령별: 30세 미만 | 명 | 45 | 26 | 22 | |
- 연령별: 30세~50세 | 명 | 178 | 121 | 79 | |
- 연령별: 50세 초과 | 명 | 17 | 34 | 38 |
▣ 임직원 유지
항목 | 단위 | 2022 | 2023 | 2024 | |
퇴직자 | 명 | 167 | 134 | 116 | |
자발적 이직률 | % | 6.9 | 5.3 | 3.6 | |
평균근속년수 | 년 | 5.7 | 5.9 | 4.1 | |
- 성별: 남성 | 년 | 5.8 | 6.1 | 4.3 | |
- 성별: 여성 | 년 | 5.3 | 5.2 | 4.1 | |
* 자발적 이직률: 자발적 이직자 / 전체 인원 |
▣ 성과 평가
항목 | 단위 | 2022 | 2023 | 2024 | |
성과평가 대상 임직원 수 | 명 | 630 | 717 | 807 | |
성과평가 빈도 | 회 | 1.0 | 1.0 | 1.0 | |
성과평가를 받은 임직원 비율 | % | 18.5 | 20.9 | 24.3 |
▣ 가족 친화 근로 환경
항목 | 단위 | 2022 | 2023 | 2024 | |
육아 휴직 사용자 수 | 명 | 7 | 2 | 5 | |
- 성별: 남성 | 명 | 5 | 1 | 2 | |
- 성별: 여성 | 명 | 2 | 1 | 3 | |
육아 휴직 사용률 | % | 31.8 | 7.1 | 15.6 | |
- 성별: 남성 | % | 27.8 | 3.7 | 7.1 | |
- 성별: 여성 | % | 50.0 | 100.0 | 75.0 | |
육아휴직 복귀 후 12개월 이상 근속자 | 명 | 11 | 3 | 8 | |
- 성별: 남성 | 명 | 8 | 1 | 6 | |
- 성별: 여성 | 명 | 3 | 2 | 2 | |
육아기 단축근무제 사용자 수 | 명 | 0 | 0 | 1 | |
배우자 출산 휴가 사용자 수 | 명 | 13 | 20 | 13 | |
유연 근무제 사용자 수 | 명 | 295 | 310 | 320 | |
- 시차출퇴근제 사용자 수 | 명 | 295 | 310 | 320 | |
- 선택근무제 사용자 수 | 명 | 0 | 0 | 0 | |
- 원격근무제(재택근무 포함) 사용자 수 | 명 | 0 | 0 | 0 |
▣ 노사 협의회 운영
항목 | 단위 | 2022 | 2023 | 2024 | |
노사 협의회 개최 수 | 건 | 4 | 2 | 4 | |
노사 협의회 안건 처리율 | % | 100 | 100 | 100 |
▣ 임직원 교육
항목 | 단위 | 2022 | 2023 | 2024 | |
총 교육 이수 인원 | 명 | 1,190 | 296 | 921 | |
총 교육 비용 | 억원 | 1.5 | 1.1 | 1.8 | |
1인당 평균 교육비용 | 원 | 70,000 | 54,000 | 97,000 | |
1인당 평균교육시간 | 시간 | 4.2 | 6.3 | 14.5 |
▣ 안전보건 관리 활동
항목 | 단위 | 2022 | 2023 | 2024 | |
CEO 현장 점검 | 회 | 7 | 8 | 9 | |
CSO 현장 점검 | 회 | N/A | N/A | 5 | |
임원 현장 점검 | 회 | 27 | 44 | 58 | |
안전신호등 평가 | 건 | N/A | N/A | 93 | |
* CSO '24년 신설 |
▣ 산업 재해
항목 | 단위 | 2022 | 2023 | 2024 | |
사망자 수 | 명 | 0 | 0 | 0 | |
사망사고 만인율 | ‱ | 0.0 | 0.0 | 0.0 | |
산업안전사고 | 건 | 97 | 98 | 54 | |
재해율(협력사 포함) | % | 0.19 | 0.18 | 0.37 | |
- 사고 | % | 0.18 | 0.16 | 0.29 | |
- 질병 | % | 0.01 | 0.02 | 0.08 | |
부상자 수 | 명 | 97 | 98 | 54 | |
- 임직원 부상자 수 | 명 | 8 | 28 | 34 | |
- 협력사 부상자 수 | 명 | 89 | 70 | 20 | |
* 사고사망만인율 및 재해율: 임직원 및 협력업체 포함,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자료 |
▣ 협력사 안전 고충 처리
항목 | 단위 | 2022 | 2023 | 2024 | |
안전고충 접수 건수 | 건 | 122 | 104 | 63 | |
안전고충 처리 건수 | 건 | 119 | 95 | 62 | |
안전고충 처리 비율 | % | 97.5 | 91.3 | 98.4 |
▣ 협력사 결재 대금 지급 조건
항목 | 단위 | 2022 | 2023 | 2024 | |
현금지급 비율 | % | 100 | 100 | 100 | |
현금성 결제 비율 유지 | % | 100 | 100 | 100 | |
대금 지급 기일 | - | 마감 후 익월 15일 또는 말일 지급 |
▣ 인권 고충 제보 채널
항목 | 단위 | 2022 | 2023 | 2024 | |
인권 제보 건수 | 건 | 5 | 3 | 5 | |
인권 조치 비율 | % | 100 | 100 | 100 | |
* 대상: 내부 임직원 |
▣ 사회 공헌 활동
항목 | 단위 | 2022 | 2023 | 2024 | |
사회 공헌 회수 | 건 | N/A | N/A | 7 | |
사회 공헌 참여 인원 | 명 | N/A | N/A | 40 | |
사회 공헌 기부 금액 | 백만원 | N/A | N/A | 15 | |
친환경 사회 공헌 회수 | 건 | N/A | N/A | 3 | |
* '24년 부터 조직적으로 사회 공헌을 실시하고 그 성과를 관리함 * 참여 인원 중 '24년 플로깅활동 참여 인원은 미산정 됨 |
▣ 가입 협회 및 지원 비용
항목 | 단위 | 2022 | 2023 | 2024 | |
대한건설협회 | 백만원 | 16 | 24 | 25 | |
한국정보통신공사협회 | 백만원 | 25 | 21 | 11 | |
사단법인 한국상장회사협의회 | 백만원 | 10 | 10 | 10 | |
한국AI스마트홈산업협회 | 백만원 | 1 | 3 | 3 | |
(주)한국거래소 | 백만원 | 3 | 3 | 3 | |
대한주택건설협회 | 백만원 | 7 | 6 | 2 | |
한국엔지니어링진흥협회 | 백만원 | 5 | N/A | N/A | |
(사)한국민간투자학회 | 백만원 | N/A | 1 | 1 | |
(사)한국공동주택전문관리협회 | 백만원 | 3 | 3 | 3 |
지배구조
▣ 이사회 현황
항목 | 단위 | 2022 | 2023 | 2024 | |
총 이사 수 | 명 | 5 | 5 | 5 | |
사내 이사 | 명 | 2 | 2 | 2 | |
사외 이사 | 명 | 3 | 3 | 3 | |
기타 비상무 이사 | 명 | 0 | 0 | 0 | |
여성 이사 수 | 명 | 0 | 0 | 0 | |
이사회 평균 재임 기간 | 년 | 2.6 | 2.8 | 2.6 | |
이사회 재선률 | % | 40.0 | 100.0 | 100.0 | |
타 직무를 4개 이하로 제한한 사외 이사 수 | 명 | 2 | 2 | 2 | |
건설업 업무 경험이 있는 사외 이사 수 | 명 | 0 | 0 | 0 | |
사외 이사에게 제한하고 있는 타 직무 수 | 개 | 2 | 2 | 2 | |
이사회 개회 회수 | 회 | 8 | 9 | 10 | |
이사회 논의 안건 수 | 건 | 19 | 20 | 29 | |
- 심의 | 건 | 13 | 12 | 21 | |
- 보고 | 건 | 6 | 8 | 8 | |
이사회 평균 참석률 | % | 100.0 | 100.0 | 96.0 | |
- 사내이사 참석률 | % | 100.0 | 100.0 | 90.0 | |
- 사외이사 참석률 | % | 100.0 | 100.0 | 100.0 | |
감사위원회 개최 수 | 회 | 5 | 6 | 5 | |
감사위원회 사외이사 참석률 | % | 100 | 100 | 100 | |
ESG위원회 개최 수 | 회 | N/A | N/A | 3 | |
ESG위원회 사외이사 참석률 | 회 | N/A | N/A | 100 | |
* ESG위원회 '24년 신설 |
▣ 소유권
항목 | 단위 | 2022 | 2023 | 2024 | |
5% 이상 지분을 소유하고 있는 주주 비율 | % | 39.4 | 39.4 | 39.4 | |
최대주주 및 그 특수관계자 지분율 | % | 39.4 | 39.4 | 39.4 |
▣ 배당 실적
항목 | 단위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주당액면가액(원) | 원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
(연결)당기순이익 | 백만원 | - | 36,537 | 96,174 | 40,686 | 1,651 | |
(별도)당기순이익 | 백만원 | 20,910 | 36,537 | 72,515 | 17,774 | -8,795 | |
현금배당금총액 | 백만원 | 4,017 | 7,757 | 14,709 | 7,354 | 7,254 | |
(연결)현금배당성향 | % | 19.2 | 21.2 | 15.3 | 18.1 | 439.4 | |
현금배당수익률: 보통주 | % | 1.2 | 2.1 | 4.8 | 2.9 | 4.9 | |
현금배당수익률: 우선주 | % | - | - | - | - | - | |
주당 현금배당금: 보통주 | 원 | 150 | 200 | 300 | 150 | 150 | |
주당 현금배당금: 우선주 | 원 | - | - | 300 | 150 | 150 | |
* 액면가 조정 5,000 → 1,000원(2019년) * (연결) 당기순이익은 지배기업의 소유주에게 귀속되는 당기순이익임 * 2019년 11월 6일 코스피시장 상장으로 상장전 배당수익률은 액면가 기준으로 산출함 |
▣ 컴플라이언스
항목 | 단위 | 2022 | 2023 | 2024 | |
총 개인 위반 건수 | 건 | 10 | 7 | 10 | |
- 해고 | 건 | 3 | 0 | 0 | |
- 강직 | 건 | 0 | 0 | 0 | |
- 정직 | 건 | 3 | 5 | 9 | |
- 감급 | 건 | 4 | 1 | 1 | |
- 견책 | 건 | 0 | 1 | 0 |
▣ 윤리경영 교육
항목 | 단위 | 2022 | 2023 | 2024 | |
Off-line 교육 | 명 | 5,057 | 5,224 | 6,820 | |
- 집합 교육 | 명 | 49 | 408 | 316 | |
- 현장 방문 교육 | 명 | 5,008 | 4,816 | 6,504 | |
On-line 교육 | 명 | 2,904 | 3,397 | 2,482 | |
* 당사 직원 대상 누적 인원 |
▣ ESG 평가 등급
항목 | 단위 | 2022 | 2023 | 2024 | |
KCGS ESG 평가 통합등급 | - | B+ | C | B | |
- 환경(Environmental) | - | C | C | C | |
- 사회(Social) | - | B+ | B | B+ | |
- 지배구조(Governance) | - | B+ | B | B |
ESG 정책 및 규정
자이S&D는 ESG 경영 강화를 위해 ESG경영 관련 정책과 규정을 제정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준수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으로 자이S&D는 지속가능한 경영 문화를 정착시키고 있습니다.
환경경영 방침 | 녹색구매 방침 | 안전·보건 방침 | ||||||||
바로가기🔗 | 바로가기🔗 | 바로가기🔗 | ||||||||
공급망 지속가능성 관리 정책 | 협력사 행동 강령 | 인권 정책 | ||||||||
바로가기🔗 | 바로가기🔗 | 바로가기🔗 | ||||||||
지역사회 정책 | 윤리 헌장 | 윤리 규범 | ||||||||
바로가기🔗 | 바로가기🔗 | 바로가기🔗 | ||||||||
윤리 규범 실천 지침 | 임직원 부정청탁 등 금지지침 | 이사회 운영 규정 | ||||||||
바로가기🔗 | 바로가기🔗 | 바로가기🔗 | ||||||||
감사위원회 운영 규정 | ESG위원회 운영 규정 |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운영 규정 | ||||||||
바로가기🔗 | 바로가기🔗 | 바로가기🔗 | ||||||||
보상위원회 운영 규정 | ![]() | ![]() | ||||||||
바로가기🔗 |
온실가스 배출량 검증서
자이S&D의 온실가스 배출량 검증 의견서는 당사가 보고한 온실가스 배출량 데이터의 신뢰성과 정확성을 객관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외부 전문기관이 수행한 검증 결과를 담고 있습니다. 검증 의견서는 국제 기준과 관련 법령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및 보고 과정이 적정하게 이행되었는지 평가하며, 데이터의 완전성, 일관성, 투명성, 신뢰성 등을 중점적으로 검토합니다. 검증 결과, 자이S&D의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및 보고 체계는 관련 기준에 부합하며, 보고된 수치가 사실에 근거해 신뢰성 있게 작성되었음을 확인하였습니다. 앞으로도 자이S&D는 온실가스 배출량 관리의 투명성을 높이고, 외부 검증을 통해 지속적으로 신뢰받는 환경경영을 실천해 나갈 것입니다.
▣ 제 3자 검증 의견서